트롤리 딜레마 - 어떤 선택을 해야되나
트롤리 딜레마는 브레이크가 고장난 트롤리 상황을 질문 하고 다수를 위해 소수를 희생 할수 있는지에 대해 판단을 하는 문제 상황을 제시하는것을 지칭 한다. 윤리학의 사고 실험으로서 여러 박사들의 분석으로 체계를 잡기 시작 했다. 여기서 말하는 트롤리 딜레마는 보통 한국어로 광차 문제라고 번역이 되는데 실험에 사용된 문장의 주 문제가 주로 광부들을 희생 하는 방식에 대해 설정되어있어서 그런것으로 보여진다. 시나리오의 희생양이 광부들이였던것을 바탕으로 광차 문제로 이름이 정해졌다.
트롤리 딜레마 - 실험 방법
대표적인 트롤리 딜레마 실험 방법으로는 아래의 시나리오를 예로 들수 있다. 살아오면서 한번쯤은 봤을 것이다.
1. 브레이크가 고장난 기차가 달려오고 있다 선로 A 에는 광부 한명이 선로 B에는 광부 6명이 있다. 고장난 기차가 계속해서 달려온다면 6명의 광부를 100퍼센트 확률로 죽이게 되어있다. 레일 변환기를 작동하면 다른 선로에 있는 광부 한명이 100퍼센트 확률로 죽게 되어있다. 변환기를 손에 쥔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할것인가?
2. 당신은 다리 위에 서 있다. 다리 아래를 지나는 기찻길에는 광부 5명이 있고 선로 반대편에서 고장난 기차가 달려오고 있다. 이대로 가만히 있는다면 반듯이 광부 6명이 죽게 된다. 하지만 다리 위에 당신과 같이 있는 100KG 남자를 다리 아래 선로로 밀어서 떨어뜨리면 고장난 기차가 떨어진 남자를 치고 멈추게 된다 그렇다면 당신은 이 뚱뚱한 남자를 밀어서 떨어뜨릴것인가?
트롤리 딜레마 - 결과
위의 두가지 대표적인 예시가 트롤리 딜레마를 잘 설명 해주는 시나리오 이다. 위의 두 시나리오는 궁극적으로 소수를 희생해 다수를 살릴것인가에 대해 묻는것처럼 보인다.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은 어떤 선택을 했는가? 1번에서는 90%에 가까운 사람이 레버를 당겨 1명의 광부를 죽이고 6명의 광부를 살리기로 선택을 할것이다. 이는 윤리학적으로 6명을 죽게 하지 않는다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레버를 당길수 있다고 판단을 한다. 하지만 2번에서는 겨우 10%의 사람이 뚱뚱한 사람을 밀어 기차를 멈춰 6명을 살린다고 답을 한다. 그 이유는 두번째 문제가 1명의 뚱뚱한 사람을 밀어 죽이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그럼 왜 똑같이 6명을 살리는 일인데 1번에서는 가능 하고 2번에서는 불가능 한 것일까?
1번 문제에서는 5명의 광부를 살리기 위한 어쩔수 없는 상황으로 5명의 목숨 대신에 1명에 몰아 넣을수 있기 때문이다. 2번 문제에서는 자신이 직접 뚱뚱한 사람의 목숨을 침해하여 5명을 구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선택의 변화가 발생 한다고 보고 있다.
이 딜레마는 똑같은 결과를 놓고 다른 선택을 하는 인간의 판단을 바탕으로 만들어져 있는 실험이다.
'건강을 위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블로프의 개 - 조건 반사 실험 (0) | 2024.04.13 |
---|---|
크레아틴 안먹으면 안되나요? (0) | 2024.04.02 |
조현병 - 원인 - 증상 - 치료 (0) | 2019.06.22 |
아티초크 효과, 차 그리고 요리 (0) | 2019.06.16 |
대상포진 증상 과 전염성 그리고 감염 초기증상 치료 방법 예방접종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9.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