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파블로프의 개로 널리 알려진 고전적 조건 형성은 특정 자극을 준 후 무조건 자극과 무조건반응을 끌어내어 무조건 반사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조건 형성을 하여 조건 자극을 가해 조건반응을 끌어내어 조건 반사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렇게 설명하면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건지 이해하기 힘들다. 그래서 파블로의 개 실험이 유명해진 이유로 이해를 쉽게 하게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파블로프의 개 - 실험

아래의 실험 내용을 통해 쉽게 이해 해보자.

1. 강아지를 앞에 두고 종을 울려준다. (강아지는 잠깐 쳐다볼 뿐 특별한 반응이 없다) 지금 상태는 중성 자극이라 칭한다. 

2. 강아지에게 먹이를 준다. 그러면 강아지는 본능적으로 침을 흘리게 되어 있다. 이 현상을 묶어서 무조건 반사로 칭한다. 

3. 종을 울리고 약간의 시간 차를 준 후 먹이를 준다. 강아지는 먹이를 보고 침을 흘린다. 이 현상을 묶어서 조건 형성이라고 칭한다. 

4. 위의 조건을 여러 번 반복하여 강아지에게 종이 울리면 먹이를 준다라는 공식을 학습시킨다.

5. 이제 강아지는 종만 울려도 먹이 없이 침을 흘리게 된다. 이를 조건 반사라고 한다.

위의 실험을 통해 고전적 조건 형성을 만들 수 있다.

Pavlov`s dog

조건 형성의 대표적 사례

현재 미디어가 파블로프의 개 실험의 대표적인 사례라는 의견이 많다. 특히 광고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어떤 연예인이 A라는 제품을 광고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이 연예인의 이미지와 호감 그리고 인기도에 따라서 제품이 더 좋아 보이고 호감 갈 수 있게 된다는 내용이다. 실제로 그러한 경향이 많이 보이기 때문에 광고계에서는 이미지 좋고 인기 많은 연예인을 광고 모델로 사용하는 이유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