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글에 사이트 맵 (sitemap) 등록 하는 방법

사이트 맵(site map)은 블로그의 정보를 해당 검색엔진에 등록 하는 역활을 하는 파일입니다. 모든 블로그 페이지의 정보를 등록하기 때문에 검색에 도움이 됩니다.

 

사이트 맵 (site map) 만드는 방법과 대한민국 최대 검색 엔진인 네이버에 등록 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 해주세요.

처음 블로그 검색엔진에 사이트 맵(Sitemap) 등록하기 - 네이버 편

 

처음 블로그 검색엔진에 사이트 맵(Sitemap) 등록하기 - 네이버 편

네이버에 사이트 맵 (Sitemap) 등록하는 방법 사이트 맵(Site map)은 블로그의 페이지 디테일을 등록한 검색엔진에 알리는 역할을 하는 파일입니다. 모든 페이지의 정보가 등록되는 역할을 도와주기 때문에 검색에..

davetv1379.tistory.com

구글 서치 콘솔에 사이트 맵 등록 하는 방법

이전 글에서 사이트 맵(Sitemap)파일을 만들었다면 이제 구글에도 블로그 검색이 될수 있게 해봅시다. 이전 글에서 보여드렸던 사이트맵의 링크 주소 복사 까지 진행을 하신뒤 네이버가 아닌 구글 서치 콘솔에 들어가 줍니다.

 

출처 - 구글

위와 같이 구글에서 구글 서치 콘솔을 검색 하게 되면 최상단에 Google Search Console 사이트가 나옵니다. 클릭해서 들어가준뒤 구글 계정 로그인을 해주시면 됩니다. 만약 계정이 없을시 스마트 폰에 등록되어있는 gmail 계정을 사용 하셔도 무방합니다.

 

출처 - 구글 서치 콘솔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한 후에 블로그 주소 등록이 완료 되어있는 상태라면 왼쪽 사이드에 위와 같은 Sitemaps 라는 표시가 있습니다. Sitemaps 를 클릭 후 나오는 주소칸에 아까 복사 해둔 사이트맵 링크를 붙여 넣습니다.

 블로그 주소 /attachment/2o3fn19j@1b1b97rb19b1.xml 로 나오는데 /attachment 이전의 블로그 주소부분을 삭제 한 뒤에 등록 하기 버튼을 누르게 되면 자동적으로 등록이 완료 됩니다. 최종 적용 되는데 까지 시간이 어느정도 소모 될 예정이므로 대략 24시간 정도 뒤에 확인 해보면 정상 등록이 되었다는 표시를 보실수 있을껍니다.

구글 계정으로 블로그 등록을 아지 하지 않으셧다면 아래의 링크에 블로그 등록 방법이 설명 되어있습니다.

처음 블로그 검색엔진에 등록하기 #2 구글 콘솔 등록

 

처음 블로그 검색엔진에 등록하기 #2 구글 콘솔 등록

블로그를 구글 검색에 등록 블로그를 등록하려면 구글 서치 콘솔을 이용해서 블로그 등록을 해야 됩니다. 기존에는 네이버가 한국 검색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점유율이 높았으나 스마트폰 보급 + 구글 이미지..

davetv1379.tistory.com

 

여기까지가 구글 sitemap 등록 방법이었습니다. 정상 등록이 완료 되는 순간 구글 검색에 블로그 글이 검색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네이버에 사이트 맵 (Sitemap) 등록하는 방법

사이트 맵(Site map)은 블로그의 페이지 디테일을 등록한 검색엔진에 알리는 역할을 하는 파일입니다. 모든 페이지의 정보가 등록되는 역할을 도와주기 때문에 검색에 도움이 됩니다.

 

그럼 일단 사이트 맵(Site map) 파일이 필요 합니다.

http://www.web-site-map.com/

출처 - web-site-map.com

위의 파란색 링크를 타고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면 http:// 빈칸에 블로그의 주소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Get free XML Sitemap 버튼을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출처 - web-site-map.com

Security code는 빈칸 오른쪽에 있는 코드를 그대로 입력 후 맨 아래 Subdomains 부분에 check를 해주신 뒤에 Create free XML Sitemap버튼을 눌러 줍니다.

 

그럼 하단 Status 부분에 만들고 있으니 잠시 기다려 달라는 말이 나옵니다. 블로그 또는 사이트의 크기에 따라 만들어지는 속도는 제각각이며, 작은 블로그는 보통 20분 정도 걸리고 큰 블로그는 4시간 이상 걸리는 곳도 있다고 합니다. 사이트 맵(Site map)이 완료가 되면 아래에 Please Download your Sitemap이라는 파란색 링크가 나오는데 클립 해줍니다.

출처 - web-site-map.com

Download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다운로드된 파일은 찾기 쉽게 바탕화면에 꺼내 놓으시고 블로그 글쓰기로 돌아가서 파일을 업로드해봅시다.

 

글쓰기로 들어가서 바탕화면에 빼놓은 사이트맵 XML 파일을 업로드 후 비공개로 게시글을 작성해 줍니다. 게시글 작성이 완료되었으면 해당 게시글에 간뒤 사이트 맵 파일을 오른쪽 클릭 후 링크 복사하기를 합니다.

링크 주소 복사를 하게 되면 복사된 링크가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등록할 수 있는 사이트 맵 주소입니다.

 

네이버 웹 마스터 도구 사이드에 요청 - 사이트맵 제출을 클릭 후 사이트맵 제출을 해봅시다.

출처 - 네이서 웹마스터 도구

제출 칸에 아까 복사해놓은 주소를 붙여 넣기 하면

블로그 주소 /attachment/afdsfh2.id@an23f9nf9pbbyb1b3.xml 

로 나오는데 여기서 블로그 주소/ 부분을 지운 뒤 확인 버튼을 누르면 네이버 사이트맵 제출이 완료됩니다.

 

여기까지 잘 따라오셨다면 블로그 네이버 사이트맵 제출이 완료되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출처 - 구글 검색

블로그를 구글 검색에 등록

블로그를 등록하려면 구글 서치 콘솔을 이용해서 블로그 등록을 해야 됩니다. 기존에는 네이버가 한국 검색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점유율이 높았으나 스마트폰 보급 + 구글 이미지가 좋아지면서 구글 또한 점유율이 늘었습니다. 그렇기에 유입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네이버 이외에 구글 또한 등록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 구글 서치 콘솔

구글 서치 콘솔에 접속했으면 위의 사진에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신 뒤 구글 로그인을 해줍니다.

 

출처 - 구글 서치 콘솔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사이트를 등록할 수 있는 칸이 나오는데 도메인 등록이 아니라면 URL 접두어 입력으로 들어갑니다. 블로그 사이트를 넣은 뒤 계속 버튼을 클릭하면 

 

출처 - 구글 서치 콘솔

블로그의 실 주인인지 확인하는 절차가 나옵니다. 우리는 제일 간편한 HTML 태그를 이용해서 소유권 확인을 합시다.

블로그 관리자 메뉴로 돌아와서 아래의 사진처럼 스킨 편집 칸으로 이동합니다.

출처 - 티스토리

스킨 편집에 들어간 뒤에 화면 제일 오른쪽에 보이는 html 편집 버튼을 누릅니다.

출처 - 티스토리

편집을 누르면 바로 보이는 ​수많은 코드 중에 ctrl + f 키를 누른 후 <head>를 찾아 줍니다. 찾았다면 바로 밑에 구글 서치 콘솔에서 받았던 코드를 복사 붙여 넣기 합니다.

정상적으로 붙여 넣기 된 것을 확인한 뒤에 저장 버튼을 누른 뒤 구글 서치 콘솔 창으로 넘어옵니다. 구글 서치 콘솔 창에서 확인 버튼을 눌러주면 소유자 확인이 완료된 뒤에 축하 메시지를 받고 계속 하기 버튼을 눌러 줍니다.

 

RSS 등록

네이버에서 RSS 등록을 했듯이 구글에서도 RSS 등록을 진행해줘야 됩니다.

구글 서치 콘솔 왼쪽 사이드 바에서 색인 - sitemaps를 찾아 줍니다.

출처 - 구글 서치 콘솔

새 사이트 맵 추가 칸 빈칸에 rss를 입력 후 제출 버튼을 눌러 sitemap 추가를 진행합니다.

아래 /rss 가 추가되었다면 정상적으로 등록 완료된 것입니다.

 

네이버와 같이 구글 또한 바로바로 확인이 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며칠이 지나면 정상 등록되었고 확인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받을 수 있을 겁니다.

 

 

 

반응형
반응형

블로그를 만들고 하루 이틀 유입량이 너무 없다!

 

블로그를 처음 만드시는 분은 바로 느끼실 내용입니다. 글도 어느정도 쓰고 홍보도 하고 SNS에 넣기까지 했는데 사람이 너무 안본다! 

 

이유는 몇가지가 있겠지만 제일 큰 이유는 검색엔진에서 블로그를 검색 해주지 않았기 때문일수도 있습니다.

 

어느정도 양질의 블로그를 년단위에 걸쳐 만들어 내셧다면 특별한 검색엔진 필요 없이 최소한의 유입량이 보장이 되겠지만 블로그를 갓 만든 따끈따끈한 블로거는 그런거 없이 그나마 있는 하나 두개의 블로그 글을 열심히 홍보 해야됩니다.

 

자 그럼 블로그를 네이버 웹마스터에 등록 해볼까요?

 

1. 처음은 네이버에서 네이버 웹 마스터 도구를 검색 해 주세요.

출처 - 네이버 검색창

위와 같이 네이버에서 네이버 웹 마스터 도구를 검색하시면 블로그 네이버 등록이 가능한 웹 마스터 도구가 나옵니다.

 

출처 -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사이트에 들어온뒤 오른쪽 상단에 있는 로그인을 해줍니다.

 

로그인 후 처음 블로그 라면 연동 사이트 목록이 빈칸으로 나와 있습니다.

사이트 추가 칸에서 현제 만들어진 블로그 사이트를 추가 합니다.

 

출처 -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사이트를 추가 하게 되면 하단에 추가한 사이트의 주소가 나옵니다.

주소를 클릭 하게 되면 해당 주소에 사이트 상태, 수집 현황, 사이트 최적화 등이 나오고 화면을 통해서 조금 더 사이트 최적화를 진행 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급한건 일단 게시글 등록이 먼저 이겠죠.

 

왼쪽 사이트 바에 요청 - RSS 제출을 클릭 후 RSS 제출 칸에 본인의 블로그 주소/rss 를 입력 후 확인 버튼을 눌러 줍니다.

 

그럼 블로그로 부터 만들어지는 게시글이 RSS를 통해서 제출이 자동으로 진행 됩니다.

 

이제 여러분의 RSS를 제출 했습니다.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게시글들이 네이버 검색에 포함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