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테이블 디퓨전 WebUI에서 원하는 그림이 나왔을 때, 해당 이미지에 들어간 설정 값을 정확히 알아내고 다음에 사용하기 위해서 설정 값을 다른 곳에 따로 정리해 적어 놓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음에 WebUI를 사용할 때 똑같은 설정 값을 가지고 오계 하기 위해서 WebUI에 해당 설정값을 저장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 가지 방법 중 쉬운 방법과 복잡한 방법이 있는데 쉬운 방법부터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테이블 디퓨전 WebUI 설정 값 저장 방법

1. WebUI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txt2img에서 프롬프트를 입력 후 generate 할 경우 여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생성 중 원하는 그림이 나왔을 경우 해당 prompt와 generation 설정 값등을 저장해 두면 다음에도 비슷한 또는 같은 그림의 결과물을 노릴 수 있습니다.  Webui에서 Edit Styles를 통해서 저장해 둘 수 있습니다. 

Stable diffusion WebUI

2. WebUI 오른쪽 상단에 보시면 Generate 버튼 아래 Edit styles 버튼 찾으실 수 있습니다. 이 버튼을 클릭 시 Styles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나오고 차례대로 첫 번째 칸에는 등록할 이름, prompt에는 사진 속 포함 되어야 될 내용들, negative prompt에는 포함되지 않아야 될 내용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Stable diffusion 설정

3. 위의 내용 중 Negative prompt 안의 단어들은 Civitai 사이트에 사용되는 단어 중 입력하면 고품질의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프롬프트입니다.  ((nsfw:1.1), easy negative,ng_deepnegative_v1_75t,(worst quality:1.5),(low quality:1.5),(normal quality:2),low-res, bad anatomy, bad hands, normal quality,((watermark)), mark)), blurry, logo, disfigured face, morbid)

중요 Stable Diffusion 설정 값

Stable diffusion Styles 값을 저장했다면, Generation Tab 아래 중요 stable diffusion 설정 값들을 정리해주어야 됩니다.

Stable diffusion 설정 값

위의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이미지 생성에 필요한 중요 값들이 몇 개 있습니다.

  • Sampling method - DPM++ 2M Karras가 저사양 컴퓨터에서도 준수한 이미지를 생성할 때 사용 되는 method입니다. 다른 method도 유용한 게 많지만 처음에는 DPM++ 2M Karras로 AI 이미지 생성 Step을 이해하시는 게 좋습니다.
  • Sampling Steps - 이미지를 생성할 때 얼마만큼의 재확인 step이 필요한지에 대해서 설정하는 곳입니다. 주로 25 ~ 30 사이로 설정해 놓고 사용합니다. 높은 숫자일수록 여러 번 확인하여 에러를 찾아내어 조금 더 정확한 이미지를 생성해주기는 하지만 숫자가 높으면 높을수록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이미지 생성 시간이 문제가 됩니다. 30 이상부터는 마이너 한 디테일을 확인하기 때문에 굳이 그 이상의 숫자를 입력하여 시간 낭비를 할 필요가 없어 보입니다. 물론 결과물의 디테일이 중요하다면 샘플링 스텝 사이즈를 늘리는 것도 추천됩니다.
  • CFG Scale - 이 설정 값은 이미지 생성이 Prompt 안 단어를 얼마만큼 강력하게 입력할지에 대해서 설정하는 값입니다. 숫자가 낮으면 AI가 단어를 포괄적으로 이해 후 이미지를 생성하기 때문에 디테일이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설정값이 높으면 AI가 단어 하나하나 뜻을 이해 후 이미지를 생성하기 때문에 디테일이 추가될 수도 있지만 그만큼 생성된 이미지가 Prompt가 잘못되었을 경우 기괴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게 됩니다. 주로 7 ~ 10 정도 사이에서 설정합니다. 
  • Seed - 이 설정 값은 이미지 생성 시 사용된 seed값입니다. minecraft에서 map seed 값과 같은 느낌으로 여러 이미지 생성 시 seed 값에 따라서 다른 구도, 다른 색채 그리고 다른 그림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보통 -1로 사용됩니다. -1 뜻은 Random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