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블로그는 전문 의학적 지식 또는 정보를 제공 하지 않습니다. 일반 상식적인 내용 포함이 있으므로 정확한 내용은 가까운 병원이나 의사 상담을 권해드립니다.

조현병의 뜻

조현병은 병명 개정전에 정신 분열증으로도 불리우던 정신 질환이다. 일반 적으로 행동 인격등 여러 측면에 걸쳐 광범위한 이상 증상을 일으키고 망상, 환상 사고 장애, 언어 또는 행동 이상증상등이 대표적으로 나타나고 단일 질병이기 보다 복합적 질병으로 보는 것이 맞다. 정신병이고 뇌와 연관되어있기 때문에 여러 방면으로 다양하고 복합적인 증상이 나타나고 분류하기도 상당히 까다롭다. 개인에 따라 발생 되는 증상도 천차만별이고 크게 양성 또는 음성 증상으로 나누고 있다. 분류가 되는 만큼 증상별 치료에 대한 접근법도 나누어 발전 되고 있다.

 

대상포진 증상 과 전염성 그리고 감염 초기증상 치료 방법 예방접종에 대해 알아보자

조현병의 원인

조현병의 발병 원인은 크게 신경전달 물질의 불균형, 대뇌의 구조 및 기능 이상, 과다 신경증식등등이 있다. 유전적 원인과 환경적 원인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발병 하고 있다. 아직 뇌에대해 연구가 진행 되는 만큼 추가 원인 또는 치료 방법에 대해 더 밝혀질것으로 보고 있다.

 

조현병은 유전적으로 대물림의 경우가 생각 이상으로 높다. 유전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가정하에 1퍼센트 미만의 확률로 조현병이 발병하기도 하는데 유전적 문제가 있다면 확률은 10배가 넘게 증가 된다. 쌍둥이의 경우에는 반반의 확률로 걸리기도 하는 만큼 조현병은 유전적으로 대물림된다는데 이의가 없다.

 

이러한 유전적원인으로 인해 뇌 자체의 변화가 주로 발병 원인이 되는데 조현병 환자의 경우 다른 일반인과의 구조의 차이가 확연히 보인다. 출생 전 이미 조현병에 걸릴 확률이 높은 뇌가 결정 되는데 뇌의 발달로 인해 확률이 발병으로 진화 되곤 한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생물학적 요인을 제외한 요인을 말한다. 위의 설명과 같이 유전적 요인이 크게 작용 하지만 이는 주로 발병 확률을 극단적으로 올려 발병 자체를 일으킬수 있는 준비단계로 볼수 있다. 성장 과정에서 유전적으로 위험한 사람이 심리적 요인 또는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실제 발병을 일으키는 트리거라고 볼수 있다. 유전적 영향이 더 높지만 환경적 요인이 직접적 트리거라고 생각 된다. 사춘기에 주로 발생 되고 극심한 환경 변화로 인한 발병이 시작된다.

 

아티초크 효과, 차 그리고 요리

조현병의 증상

양성 증상의 경우에는 일반 사람에게서는 볼수 없는 비정상적이고 이상한 정신병적 증성을 뜻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환청, 망상, 환각, 언어의 불규칙성등이 있다. 양성 증상의 경우에는 의학을 모르는 사람이 보더라도 누구나 이상함을 느낄수 있는 눈에 확연히 보이는 증상들이다. 양성 증상은 생각 하는것보다 쉽고 빠르게 치료가 가능한 증상이라고 볼수 있다.

 

예시>

환각 - 실제 하지 않는 현상을 실제 하는것처럼 느낀다. "안보여? 저기!"    

망상 - 자신이 어떤 존재로 된것처럼 이야기 한다. "신의 아들이다 내가 너희를 구원 하겠다"

 

 

음성 증상의 경우 일반사람들은 조현병인지 다른 병인지 구분이 조금 애매한 경우가 많다. 주로 감정표현의 문제 또는 극심한 우울증과 비슷한 행동 양상을 보여준다. 게으르고 청결하지 않으며 어린아이처럼 행동을 한다.

 

WHO 게임 중독 질병 코드 가챠뽑기? 확률형? 100만원치?

조현병 치료방법

치료 방법은 발병하고 난 뒤의 증상에 비해 쉬운 편이다. 증상이 개개인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여러가지 치료 방법이 있지만 약물 치료가 효과 적이다. 항 정신병 약물을 복용법에 맞게 정확히 복용 하기만 한다면 일반적 생활을 할수 있을정도로 회복 된다고 한다. 재발률도 약물 치료가 다른 치료법에 비해 상당히 낮은 편에 속하므로 가능하면 의사와의 상담후 약물 치료가 제일 효과적이라고 볼수 있다. 물론 약물 치료 자체에 부작용이 없는것은 아니다. 항 정신병 약물을 모두가 알다싶이 여러 마이너한 부작용들이 있기 때문에 약물 복용중 여러 주의사항이 있고 환자 주변 사람들의 도움이 필요하다.

 

여러 치료 후 재발을 막기 위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고 병의 완치를 위한 치료 방법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단계로 앞으로 기대가 된다.

 

 

 

반응형

+ Recent posts